미성년자 유심 보호 서비스 신청 방법|통신사별 설정 방법과 해지 주의사항 정리

미성년자 유심 보호 서비스 신청 방법|통신사별 설정 방법과 해지 주의사항 정리

미성년자 유심 보호 서비스는 부모나 보호자가 무분별한 결제 및 개인정보 노출을 예방하기 위해 반드시 설정해야 할 기능입니다. 각 통신사(KT, SKT, LG U+)에서는 미성년자를 위한 다양한 보호 서비스를 제공하며, 신청 및 해지 시 유의사항도 존재합니다.

서비스 신청 방법, 주요 기능, 해지 절차 등 필수 정보를 정리해드리니, 미성년자 자녀를 둔 보호자라면 꼭 확인해보세요.


미성년자 유심 보호 서비스 주요 내용

  • KT: ‘자녀폰 안심’ 서비스 제공, 인터넷 및 앱 사용 제한 가능
  • SKT: ‘ZEM(잼)’ 앱 연동으로 위치 추적, 통화·문자·앱 차단 가능
  • LG U+: ‘U+자녀폰지킴이’ 앱 설치 후 보호자 계정에서 제어 가능

신청은 통신사 대리점 또는 공식 앱(마이KT, T월드, U+ 고객센터)에서 가능합니다. 단, 최초 등록 시 법정대리인 본인 인증 및 가족관계 증명서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주의사항 및 해지 시 확인할 점

  1. 해지 시 자녀에게 알림 없이 보호 서비스가 종료될 수 있음
  2. 해지 후 유심을 타인 기기에 끼워 사용할 수 있으므로 보안에 주의
  3. 통신사별로 일부 서비스는 유료로 전환되기도 함

유심 보호 서비스를 설정하더라도 완벽한 차단은 아니므로, 자녀와의 소통을 병행하는 것이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