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수직 건강검진 대상자 및 필수 항목 안내|제출 서류·검진 주기·병원 선택까지 정리
특수직 건강검진은 유해·위험 작업 환경에서 근무하는 근로자를 대상으로 하는 필수 건강검진입니다. 일반 건강검진과는 달리 노출 물질에 따라 맞춤 항목이 지정되며, 사업주 제출 의무도 포함됩니다. 본문에서는 특수건강진단 대상자 기준, 검진 항목, 병원 선택, 제출 방법까지 자세히 안내합니다.
산업안전보건법에 따라 유해요인에 노출되는 작업자는 특수건강진단 대상자로 분류되며, 다음과 같은 항목을 포함한 검진이 필요합니다.
- 대상 직군: 화학물질 취급, 소음, 분진, 야간작업, 고온·고압 작업자 등
- 검진 주기: 최초 배치 전 1회 + 이후 6개월 또는 1년에 1회 이상
- 사업주 책임: 검진 실시 및 결과 보관, 안전조치 연계 의무
특수직 건강검진 항목은 유해인자별로 다르게 구성됩니다:
노출 물질 | 검진 항목 |
---|---|
소음 | 청력검사, 이경 검사, 이과적 진찰 |
벤젠 | 혈액검사, 간기능, 신경계 이상 진단 |
분진 | 흉부 X-ray, 폐기능 검사 |
야간작업 | 혈압, 심전도, 수면·정신건강 평가 |
검진 결과는 병원에서 직접 제공되며, 산업안전보건공단 전산시스템에 제출하거나 사업주가 서류로 보관해야 합니다. 또한, 검진 결과에 따라 추적검사 또는 작업 전환 권고가 이루어질 수 있습니다.
주의사항: 검진을 받지 않거나 허위로 제출한 경우, 사업주에게 과태료가 부과될 수 있으며 근로자 건강 피해 책임도 발생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