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허 갱신 방법 총정리|연차등록료 납부 절차·유효기간·미납 시 불이익 안내
특허 갱신은 특허권을 유지하기 위해 필수적으로 진행해야 하는 절차입니다. 정식 용어로는 연차등록료 납부라고 하며, 특허 출원일 기준으로 매년 정해진 기한 내에 납부해야 효력이 유지됩니다. 본문에서는 납부 절차, 기한, 비용, 미납 시 불이익까지 한눈에 확인할 수 있도록 정리했습니다.
특허권 유효기간은 등록일로부터 최대 20년이며, 이를 유지하기 위해 1년 단위로 연차등록료를 납부해야 합니다. 기한을 넘기면 연체료가 부과되며, 일정 기간 미납 시 특허권이 소멸됩니다.
✅ 특허 연차등록료 납부 요약
항목 | 내용 |
---|---|
유효기간 | 출원일 기준 최대 20년 |
납부 시기 | 1년 단위로 매년 도래 전 납부 |
납부 장소 | 특허청 전자출원시스템 (KIPOnet) |
연체 가능 기한 | 납부기한 경과 후 6개월 이내 가능 (가산금 부과) |
📌 납부금액은 등록 연차, 청구항 수, 개인/법인 여부에 따라 다르며, 1~3년차는 저렴하나 이후 증가하는 구조입니다.
- 1~3차: 수천 원 ~ 수만 원 수준
- 10년차 이후: 수십만 원 이상 가능
- 미납 시 특허권 소멸 및 복원 불가
※ 납부는 특허청(KIPOnet) 전자납부시스템에서 가능하며, 공지된 기한을 반드시 확인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