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남도 출산지원금 신청방법|시군별 최신 지급 금액 총정리

경상남도 출산지원금 신청방법|시군별 최신 지급 금액 총정리

경상남도 출산지원금은 각 시·군의 인구정책에 따라 지급 금액과 조건이 상이합니다. 대부분 첫째아부터 차등 지원하고 있으며, 일부 군 단위에서는 셋째아 이상 1천만 원 이상 고액 장려금도 운영되고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경상남도 18개 시군의 출산지원금 최신금액과 신청방법을 안내드립니다.


경남지역 출산지원금은 시 단위와 군 단위 간 지급 금액 차이가 크며, 특히 농촌지역은 출산 및 양육 정착금 형태로 추가 지원이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주민등록 유지 요건, 신청 기한 등도 함께 확인해야 합니다.

지역 첫째아 둘째아 셋째아 이상 비고
창원시 30만 원 50만 원 100만 원 계좌이체 지급
김해시 50만 원 100만 원 200만 원 현금 지급
진주시 50만 원 100만 원 300만 원 양육지원금 포함
양산시 30만 원 50만 원 100만 원 통장입금
거제시 100만 원 200만 원 300만 원 바우처 병행
통영시 50만 원 100만 원 200만 원 현금 위주
사천시 30만 원 100만 원 200만 원 양육수당 연계
밀양시 50만 원 100만 원 300만 원 현금 지급
의령군 100만 원 300만 원 1,000만 원 농촌정착지원 포함
함안군 100만 원 200만 원 500만 원 자녀수 기준 차등
창녕군 100만 원 200만 원 500만 원 현금 지급
고성군 100만 원 300만 원 500만 원 출산+양육 지원
남해군 100만 원 300만 원 1,000만 원 셋째 이상 강화
하동군 100만 원 300만 원 1,000만 원 분할 지급 가능
산청군 100만 원 300만 원 1,000만 원 농촌활성화 포함
함양군 100만 원 300만 원 1,000만 원 현금+정착금
거창군 100만 원 300만 원 1,000만 원 셋째아 이상 혜택↑
합천군 100만 원 300만 원 1,000만 원 도내 상위권 지급

경상남도는 특히 합천·산청·하동·의령 등 농촌지역을 중심으로 셋째아 이상 1,000만 원 지원이 일반화되고 있으며, 도시 지역은 평균 30~100만 원 수준에서 시작됩니다.

  • 대부분 지역은 주민등록 기준 6개월 이상 필요
  • 양육수당, 바우처, 축하지원금과 병행 운영 가능
  • 읍·면·동 행정복지센터 또는 시청 복지과에 신청

경상남도 출산지원금은 지역별 예산과 정책에 따라 매년 금액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반드시 거주지 시·군청 홈페이지에서 최신 정보를 확인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