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라북도 출산지원금 및 첫만남 이용권 신청|지역별 지급액 비교 정리
전라북도 출산지원금은 각 시·군에서 출산 장려를 위해 자체적으로 운영하는 현금 또는 바우처 제도입니다. 여기에 더해 정부가 지원하는 첫만남 이용권 200만 원까지 더해져, 전라북도에서는 출산 가정에 더욱 실질적인 도움이 제공됩니다. 본문에서는 시군별 구체적인 지급 금액과 신청 정보를 안내합니다.
첫만남 이용권은 출생아 1명당 200만 원이 국민행복카드 포인트로 지급되는 정부 공통 출산지원제도입니다. 전라북도는 이에 더해 각 시·군이 별도로 출산지원금 또는 양육수당을 지급하고 있어, 거주지별로 실수령액 차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지역 | 첫만남 이용권 | 지자체 출산지원금 | 비고 |
---|---|---|---|
전주시 | 200만 원 | 첫째 30만 원 / 둘째 50만 원 | 출산축하금 병행 |
익산시 | 200만 원 | 첫째 50만 원 / 둘째 100만 원 | 양육수당 형태 |
군산시 | 200만 원 | 첫째 20만 원 / 둘째 50만 원 | 현금 지원 |
정읍시 | 200만 원 | 첫째 20만 원 / 둘째 100만 원 | 읍면동 복지센터 신청 |
남원시 | 200만 원 | 월 10만 원씩 6개월(둘째 이상) | 양육비 분할 지급 |
김제시 | 200만 원 | 10만 원 | 지역화폐 포함 |
완주군 | 200만 원 | 없음 | 기본 이용권만 지급 |
진안군 | 200만 원 | 첫째 100만 원 / 둘째 200만 원 | 현금 지급 |
무주군 | 200만 원 | 50만 원 | 농촌 인구 유입 강화 |
장수군 | 200만 원 | 50만 원 | 전입자 대상 강화 |
임실군 | 200만 원 | 50만 원 | 출산축하금 형태 |
순창군 | 200만 원 | 30만 원 | 양육 바우처 운영 |
고창군 | 200만 원 | 없음 | 기본 이용권만 |
부안군 | 200만 원 | 50만 원 | 바우처 병행 |
지급 시기 및 신청 절차는 다소 차이가 있으며, 일부 지역은 주민등록 유지기간 조건이나 분할 지급 방식 등을 적용하고 있으므로 사전에 행정복지센터에 문의하는 것이 좋습니다.
- 첫만남 이용권은 출생신고 후 1개월 내 신청 권장
- 국민행복카드 필수 / 미소지자는 신규 발급 필요
- 지자체 지원금은 계좌이체, 지역화폐, 바우처 형태 다양
전라북도 거주자는 첫만남 이용권 외에도 시·군별 출산지원금을 꼭 확인하고 함께 신청하여 출산 가정의 경제적 혜택을 극대화하세요.